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이야기

하수도 원인자 부담금 알아보기

by 세종킹0415 2023. 3. 3.
반응형

하수도 원인자 부담금

식당을 하려고 직거래 앱을 통해 상가를 구했는데, 중개수수료를 아끼려고 주인과 직접 계약서를 작성하고 나름 인테리어 기간 동안 주안이 임대료는 안 받기로 하고 계약을 마쳤다. 인테리어를 하고 식당 허가를 받기 위해 구청에 들어가서 담당 직원에게 물어보니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1000만 원을 내라고 하면  깜짝 놀라게 된다. 과연 이 돈은 누가 내야 할까요?

계약할 때 없던 이야기인데 임대인은 모른다고 하면  계약금과 인테리어 비용 날리고 그만둘까요?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근거법령,  부과대상, 계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의미와 관계법령

                   근 거 법 령                       법 조 항
하수도법 제61조
하수도법 시행령 제35조
각 지자체 조례 지자체별 조례 참조

원인자부담금이란,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증축, 용도변경을 하여 건물에서 오수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양 이상으로 증가 되는 경우' 해당건축물 등의 소유자(건축주)에게 공공하수도 개축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시킬 수 있다. 원인자부담금의 산정기준과 징수방법에 대하여는 지자체 조례로 정한다. 여기서 징수한 원인자부담금은 공공하수도의 신설, 증설, 이설, 개축 및 개수 등 공사에 드는 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법 제61조에서 말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양 이상 증가되는 경우'란 하루에 10㎥ 이상 증가되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자부담금의 의미

 

원인자부담금 부과대상

건축물을 신축, 증축하거나 용도변경하여 오수를 하루에 10㎥ 이상 배출하거나 증가시키려는 자가 원인자부담금 부과대상이다. 건축허가 시나 증축 시에는 최초 건축주가 대상이며 기존건물의 용도변경 시(새로 임대한 경우)에는 오수발생량을 증가시킨 원인자에게 부과하게 된다. 이 경우 원인자부담금은 누가부담할까? 임차인이 기존 업종과 다르게 업종을 변경하여 오수 배출량이 하루 10 ㎥ 이상 증가하게 되면 오수발생 증가량 전부 부과하는데, 임대인은 차임을 많이 받게 되면 부담한다지만 그렇게까지 하면서 건물을 임대할까? 그렇다고 임차인이 전부 부담하기에는 금액이 많다면 어떻게 할까? 서로 계약 시 협의를 해서 반반 부담이던지 아니면 어느 일방(임대인이나 임차인)이 부담키로 약정해서 하면 된다. 이 문제는 반드시 계약 시 매듭을 지어야 한다.

 

원인자 부담금 부과대상

원인자부담금 계산하기

원인자부담금 계산을 하려면 '1일 오수 발생량'을 알아야 합니다. 환경부에서 고시한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발생량 및 정화조 처리대상인원 산정기준표에 따라 오수발생량에 건물 바닥면적을 곱하고 지자체 별 톤당 금액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여기서 톤당금액은 자치구별로 상이한데 서울의 경우도 735,000원 ~1,055,000까지 차이함(지자체 조례확인)

원인자부담금 계산하기 = 1일 업종별 오수발생량 X 바닥면적 X 지자체별 톤당금액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발생량
원인자부담금계산하기

 

 

 

2023.02.17 - [사회성 글 작성하기] - 일본 저출산 대책, 한국 초저출산율 0.78

 

일본 저출산 대책, 한국 초저출산률 0.78

일본 도쿄 아다치구가 저출산 대책으로 자녀 1인당 3600만 엔(3억 4514만 원)을 지급하는 출산대책을 내놨다. 학자금을 지급하는 대책이지만 우리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선다. 얼마나 급박하면 저럴

sejongking0415.com

반응형

댓글